Burning Passport .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센서, 프로젝션 매핑, 사운드 . 가변사이즈 . 2018
전시 공간의 벽면에 전 세계 국가의 여권들 이미지가 프로젝션 되고 관람객들의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인터랙티브 영상 및 사운드가 재생되는 구조의 영상 설치이다.
애니메이션 - > 관객 - > 센서 - > 인터랙티브 특수 영상/사운드 효과
Jung Seung: Promise Toward the Unpredictable
Yu Jin-sang
The realities in which we live today can be viewed as threefold. First, there is the reality that we experience physically, from a horizontal perspective suited to human scale. In this horizontal reality, humans experience the world as seen from a height of around 1.5 meters off the ground (if we consider the average human height of 170 cm). Seen from this perspective, the world’s indicators are perceived in two dimensions, and the relationship humans have with the world is determined by conditions of distance, speed, assembly, labor, hierarchy, organization, hygiene, and the like. The second reality is found at a different dimension from human scale. When it is either somewhat smaller or somewhat larger, this reality immediately falls into the scope of research we call the “natural sciences.” Expanded to very small or very large scales, this reality appears unrelated to the experiential reality of human society, substituted instead with something unfathomable. The public has gained more of an interest in and grasp of this reality with the development of popular science. The third reality is virtual reality, or reality reconstructed through information. Virtual reality is governed b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eing’s most pivotal organ – the brain. Information introduced through the sensory organs is treated by the brain as part of reality, based on its own inherent logic. So when that incoming information is very similar to the reality, or arranged in such a way as to take the place of reality, the brain treats it as part of reality, which may alter people’s judgments about the reality they perceive. We today belong to the first generation that acknowledges all three of these realities in empirical and epistemological terms. We are, in other words, the first to seek a consistent perspective and “unified field” of cognition toward different levels of reality.
This complex structure of reality serves as a foundation for Jung Seung’s work as an artist. Acknowledging the so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conditions that surround us as human beings, Jung analyzes and interprets them in a way that focuses on the scientific perspective and the technical tools adopted in their representation. These days, we have been witness to the central way in which scientific fact and technological conditions are addressed when referencing the reality. Artificial intelligence is surpassing human capabilities in a multitude of areas, and it is already seen as more or less a given that the so-called “GNR” fields (genetic engineering, nanotechnology, and robotics) will fundamentally alter human identity. The mainstay technologies that have sustained societies since the 20th century – 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nd computing – are becoming increasingly automated, account-based, and adapted for big data. Human beings may represent but one process in a larger one of cosmic evolution. If the phenomenon of “life” that was once explained as a creation based on divine will is instead a mere “continuity of information” – a matter of one arrangement copying and cloning itself to recur within the flow of time – or a reversal domain of entropy resistance create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energy within the general irreversibility of thermodynamics, how might this scientific proposition be integrated into the systems of meaning and belief in our everyday life?
In his work, Jung Seung has attempted a kind of translation process, extracting growth data for plants and using a 3D printer to reconfigure them in three-dimensional form. Begun in 2016, his Living Sculpture Project has involved a search for ways of linking botany with physical computing. The artist’s own directed interpretations play a part in the process: according to Jung, the decision on whether to substitute data into the modeling program or directly into the printer’s mechanical signals is based wholly on his own imagination. These intuitive judgments offer an important clue to explain the project’s aesthetic aspects. As mentioned before, reality is ramified by constant choices and free will. This ramification coexists with the continuity of information – in other words, ramification affords continuity with opportunities. The questions we find ourselves asking about a future in which all things are predictable are concerned with the extent to which that allows for unpredictable ramifications. Jung’s work Prometheus’s String draws both from the myth of Prometheus, who provided humankind with its first technological innovation by imparting the means of controlling fire, and from superstring theory, a kind of unified field theory within physics. At the same time, Prometheus’s String also signifies a promise for the future, a world in which a broader horizon of knowledge will be permitted to us as humans. In Greek, the word “Prometheus” (Προμηθεύς) refers to a person who predicts the future; the similar-sounding French word pro-mettre means “to promise” and connotes a projection toward the future. For his initial work Prometheus’s String I (2017), Jung performed sensing six hours a day for a generation of kidney beans (a species with a short growth period), collecting data that were then fed into a specially produced 3D shape-generating program that translated them into three-dimensional shapes of differing forms from day to day. Pieced together in sequence, the resulting figures became a sculpture in string form, showing the metabolic progress over the passage of time.
To be sure, it is somewhat farfetched to equate super-string theory (which views the minimal physical units of the universe in terms of vibrating one-dimensional strings) with biological information theory (which views them in terms of mechanisms for the continuity of information in biological phenomena) and bio-information theory (which explains the exchange of information that takes place in the basic units of life). If an artist’s intervention is a matter of eliciting perceptions of the as-yet undefined words derived through juxtaposition, then there is no need to rule out the possibility of “mutual instruction” emerging through the linkages among information at different levels. On top of this, the artist has applied dramatic elements and political memories drawn from the horizontal reality. Prometheus’s String II and Prometheus’s String III are works in which he attempts to juxtapose references from the scientific stratum with facts from the political stratum by “grafting” actual plants on to sculptures in string form or drawing connections with the historical incidents of the Democracy Movement that took place in the South Korean city of Gwangju in May 1980. In a sense, the “string” may be a unit symbolizing a nexus between the system of meaning at the levels of micro- or macro-level reality, which is scientific and object but unexperienceable, and a system that is concrete and empirical but limited to an extremely human domain. For Prometheus’s String IV (2018), Jung’s source of information were species of plants, selected on the advice of South Korea’s National DMZ Native Botanical Garden as varieties capable of growing well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climates. As a setting for the final installation, he chose Mulgae Station in North Korea’s Pyongsan County, a northern extension of the 58km straight-line distance between the initial Hanmi Gallery exhibition venue and Panmunjom. In these ways, he offered an interpretation that expanded the sense of the “string” between life and history and the “promise toward the future.”
For the final Prometheus’s String V, interactive video was used to introduce a stage of connecting virtual reality with pre-existing artwork. Two videos were used, one of them rendering passports from around the world into different particles that can be seen burning away with the movements of visitors. The second is designed so that existing artwork appears to extend infinitely off beyond the places where it touches the walls or floor. The dramatic effect here is heightened with the inclusion of performance. The incineration of passports as symbols of a historical and political world-view represents both a profound proactive act of resistance toward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based on national borders, as well as an attempt to the show the overarching conditions that they obscure. And the use of virtual reality to transcend physical limitations such as walls and floors comes across as a strong allusion to the extension of the world beyond the physical dimension that we experience from day to day. The question is how to interpret this juxtaposition of complex, multiple, independent layers.
Rather than remaining at the level of artistic and aesthetic narrative, it would appear that Jung now needs to expend greater efforts on technical solutions that would enable the juxtaposition, mutual instruction, and connection of the different dimensions. But this project faces an even more formidable challenge: it must also achieve consistency and creativity across the different domains, as well as validity and independence in its system of meanings. The current project is an integrated effort worthy of being accorded great importance in the fields of science/technology and industry as well as in theoretical terms. It would seem almost beyond the reach of any artist to achieve an intellectual, technological, and aesthetic grasp of every domain when attempting this sort of high-level integrated thinking. Yet can we merely describe the artist as “reckless” for tackling such a tremendous challenge? When Jung devises a solution for producing an endlessly extended sculpt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3D printer capable of printing horizontally, when he strives to enhance the resolution of his interactive program by personally repositioning devices and improving the program – and, beyond these technical issues, when he seeks out the advice of experts on a broad range of information for the networking of different contexts and meanings – each of these processes and stages is generating aesthetic meaning at every momen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scientists and politicians, the artists and members of the public are all experiencing a historic singularity, and that the artist is responding to this sea change by asking questions of himself and discovering solutions in a lone effort to improve that. I respect the significance of the Prometheus’s String project’s projection toward the future and its promise thereto. As important as the different realities are that we experience on a daily or indirect basis, so too is the commitment to defining them in terms of an integrated reality taking place within one world, and to reconfiguring them into a meaningful realities at their individual layers. I support artists. In confronting the reality as they approach it, their perspective is invaluable.
정승 : 예측불가능을 향해 투사하는 약속 / Promise Toward Unpredictable
유진상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날의 현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인간의 크기(scale)에 맞는 수평적 시선 위에서 물리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 횡적인 현실 속에서 인간은 지상에서 약 1.5미터 정도 (170cm의 평균키를 감안했을 때) 위에서 보이는 세계를 경험한다. 이 비전 안에서 보이는 세계에서 지구의 지표는 평면으로 지각되며 인간과 세계가 갖는 관계는 거리, 속도, 군집, 노동, 위계, 조직, 섭생 등의 조건들에 의해 규정된다. 두 번째 현실은 인간의 크기와는 다른 차원에서 드러난다. 조금만 작아지거나 커져도 이 현실은 금새 소위 우리가 ‘자연과학’이라고 부르는 연구의 대상이 된다. 이 현실을 매우 작은 규모나 큰 규모로 확대하면, 그것은 인간사회의 경험적 현실과는 무관해 보여서 이해하기 힘든 어떤 것으로 대체된다. 대중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대중들은 이러한 현실에 대해 점점 더 많은 관심과 이해를 획득해나가고 있다. 세 번째는 가상현실, 혹은 정보에 의해 재구성된 현실이다. 가상현실은 인간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기관인 ‘두뇌’의 독자적 특성에 의해 규정되는데, 즉 두뇌는 감각기관을 통해 입력한 정보들을 고유한 논리에 따라 현실의 일부로 다룬다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입력된 정보가 현실과 매우 유사하거나 현실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면 두뇌가 그것을 현실의 일부로 다룸으로써 인간이 인식하는 현실에 대한 판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우리는 이 세 가지 현실을 경험적으로나 인식론적으로 모두 인정하면서 살아가는 첫 번째 세대에 속한다. 말하자면 상이한 차원의 현실들에 대한 일관된 지각과 인식의 통일장(unified field)을 모색하고 있는 최초의 인류들인 것이다.
정승의 작업은 이러한 현실의 복합적 구성을 전제로 한다. 그의 작업은 인간을 둘러싼 사회적, 역사적, 정치적 조건들을 인용함으로써 그것들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시점 그리고 그것들을 재현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적 도구들의 개입에 주목한다. 오늘날 우리는 현실에 대해 언급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사실과 기술적 조건이 핵심적으로 다루어지는 상황을 목도하고 있다. 인공지능이 각 분야에서 인간의 역량을 초월하고 있을 뿐 아니라 GNR(유전공학, 나노기술, 로보틱스)이 인간의 정체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는 예측은 이미 어느 정도 기정사실이 되어가고 있다. 20세기부터 사회를 유지시켜 오던 기간기술(교통, 통신, 전산기술)은 점차 무인화, 계정화, 빅데이터화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인간은 우주적 진화의 과정에서 하나의 과정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만약 과거에 신의 의지에 따른 창조로 설명되던 생명현상이 ‘정보의 연속성’ 즉, 시간의 흐름 속에서 하나의 배치가 스스로 반복하기 위해 자신을 복사하고 복제하는 것일 뿐이라면, 혹은 열역학적 비-가역성의 전체 속에서 에너지를 축적함으로써 엔트로피에 저항하는 가역적 영역을 만들어내는 것뿐이라면 이러한 과학적 전제를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의 의미체계나 신념과 어떻게 통합시킬 수 있을 것인가?
정승은 자라고 있는 식물의 성장데이터를 추출하여 그것을 3D 프린터를 통해 입체적인 형태로 재구성하는 일종의 번역 과정을 시도해왔다. 2016년부터 시작된 < Living Sculpture Project >를 통해 그는 생물학과 피지컬 컴퓨팅을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이 과정에서 작가의 주도적 해석이 개입하게 되는데, 작가에 따르면 데이터를 모델링 프로그램에 대입할지 아니면 프린터의 기계적 신호에 직접 대입할지에 대한 결정 등은 전적으로 그의 상상력에 의해 결정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직관적 판단은 이 프로젝트가 갖는 미학적 측면을 설명해주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현실은 끊임없는 선택과 자유의지에 의해 분기(分岐, ramify)한다. 이러한 분기는 정보의 연속성과 양립한다. 다시 말해 분기가 연속성에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모든 것이 예측 가능해지는 미래에 대해 우리가 갖게 되는 의문은 그것이 얼마나 예측 불가능한 분기(unpredictable ramifications)들을 허용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정승의 작품 < 프로메테우스의 끈 Prometheus’s String >은 인간에게 최초의 기술적 혁신인 ‘불’을 만드는 법을 전수한 프로메테우스의 신화와 함께 일종의 물리학적 통일장 이론인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을 인용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프로메테우스의 끈’은 세계가 인간에게 허용하는 지식의 지평을 더욱 넓게 허용할 것이라는 미래에 대한 약속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스어의 Προμηθεύς 는 미래를 예지하는 사람을 가리키며 유음어(類音語)인 불어의 ‘pro-mettre’는 약속을 의미함과 동시에 미래에 대한 투사를 함축한다. 최초의 작업인 < Prometheus’s String I >(2017)은 생육기간이 짧은 강낭콩을 한 세대에 걸쳐 매일 6시간마다 센싱하여 정보를 수집한 뒤 그것을 특별히 제작한 3D Shape Generating Program 을 통해 매일 다른 형태의 입체로 번역하였다. 이렇게 출력된 입체는 순서대로 이어 붙여져 시간적 흐름에 따른 대사의 과정을 보여주는 ‘끈’ 형태의 조각이 되었다.
물론 우주를 구성하는 물리적 최소단위를 끊임없이 진동하는 일차원적 끈으로 보는 ‘초끈이론’과 생명현상에서 나타나는 정보의 연속성을 위한 기제로 보는 ‘생명정보이론’ 혹은 생명의 기본단위에서 일어나는 정보교환에 대해 규명하는 ‘생체정보이론’ 등을 동일선상에서 다루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예술가의 개입이 ‘병치’를 통해 파생되는 ‘아직 규명되지 않은 세계에 대한 지각’을 이끌어내는 것이라면 서로 다른 층위의 지식들의 연결을 통해 떠오르는 ‘상호지시’에 대한 가능성을 배제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작가는 여기에 더하여 극적 요소와 수평적 현실에서 인용된 정치적 기억들을 다시 중첩하였다. < Prometheus’s String II >와 < Prometheus’s String III >는 긴 끈의 형태로 제작된 조각 위에 실제 식물을 ‘접붙이거나’, 1980년대 한국 광주에서 일어났던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사실들을 연결함으로써 과학적 층위의 인용들을 정치적 층위의 사실들과 병치하기를 시도한 작품들이다. 어떤 의미에서 ‘끈’이란 과학적이고 객관적이지만 경험할 수 없는 거시적 혹은 미시적 현실의 의미체계와 구체적이고 경험적이지만 극도로 인간적 영역에 한정된 의미체계의 연결을 상징하는 단위이기도 할 것이다. < Prometheus’s String IV >(2018)에서는 정보의 원천으로 사용된 식물들을 한국의 국립수목원 DMZ 자생식물원에서 자문을 받아 남한과 북한의 기후에서 잘 자랄 수 있는 종으로 선택하고, 최종적인 작품의 설치 장소를 최초의 전시장소인 한미갤러리에서 판문점까지의 직선거리인 58km를 다시 북쪽으로 연장한 위치인 북한의 평산군 물개역으로 정하는 등, 생명과 역사 사이의 ‘끈’ 그리고 ‘미래로 투사된 약속’의 의미를 확장하여 해석하였다.
최종적으로 < Prometheus’s String Prometheus’s String V >에서는 인터랙티브 영상을 활용하여 가상현실을 기존의 작업에 접맥하는 단계가 추가되었다. 여기에는 두 개의 영상이 사용되었는데 하나는 전 세계의 여권들을 각각의 파티클로 설정하여 관객들의 움직임에 따라 여권들이 불 타 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는 기존의 조형물이 벽이나 바닥과 닿는 부분으로부터 벽, 바닥의 저편으로 무한히 이어져 보이도록 연출된 영상이다. 여기에 퍼포먼스까지 추가하여 극적 효과를 배가하였다. 역사적, 정치적 세계관의 상징적 소재인 ‘여권의 소각’은 국경이라는 경계에 의한 배제와 차별에 반대하는 매우 적극적인 행위임과 동시에 그것이 가리고 있는 상위의 조건들을 드러내고자 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그리고 가상현실을 통해 벽이나 바닥과 같은 물리적 한계들을 뛰어넘는 것은 어쩌면 우리가 일상적으로 체험하고 있는 물리적 차원을 넘어서는 세계의 연장에 대한 강력한 암시처럼 보인다. 문제는 이러한 복합적이고 중층적이며 독립적인 층위들의 병치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현재로서는 정승의 작업은 예술적이고 미학적인 서사에 머무는 것이 아닌, 제 차원들의 병치와 상호지시 및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해결책들에 더욱 커다란 노력을 필요로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젝트는 그보다 더 커다란 난제를 지니고 있다. 그것은 각 영역을 관통하여 일관성과 창의성, 그리고 의미체계의 유효함과 독자성을 획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의 프로젝트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산업 분야에서 그리고 이론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높은 중요성을 부여할만한 통합적 과제이다. 예술가가 이와 같은 높은 수준의 통합적 사유를 추구할 때 각 영역에 대한 지적, 기술적, 미학적 이해를 모두 확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엄청난 시도에 도전하는 예술가를 단지 무모하다고 할 수 있을까? 정승이 수평으로 출력이 가능한 3D 프린터의 개발을 통해 무한히 이어진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는 해결책을 개발했을 때, 그리고 그가 인터랙티브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혼자 장치들을 재배치하고 프로그램의 개선에 매진할 때, 그리고 그러한 기술적 이슈들 외에도 상이한 맥락과 의미들의 네트워킹을 위해 폭넓은 지식들에 관해 전문가들의 자문을 구하러 다닐 때, 나는 이 모든 과정과 단계들이 매 순간 미학적 의의를 창출해내고 있다고 말하고 싶다. 중요한 것은 과학자와 정치가, 예술가와 대중 모두 역사적 특이점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고, 이러한 거대한 변화에 대응하여 예술가가 스스로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고 해결책을 발견하며 그것을 개선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는 점이다. 나는 < Prometheus’s String > 프로젝트가 갖는 미래로의 투사와 그것에 대한 약속의 의의를 중시한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접하는 제반 현실들의 중요성 못지않게 그것들을 하나의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통합적 현실로 규명하고 각각의 층위에서 각기 의미있는 현실로 재구성하고자 하는 의지 역시 매우 중요한 것이다. 나는 예술가를 지지한다. 스스로 자기가 다가서는 현실을 직시하고 있는 그의 시선이 소중할 뿐이다.